티스토리-2차-도메인-Github-계정-이전하기_사진

티스토리 2차 도메인 Github 계정 이전하기

 

티스토리 2차 도메인에 애드센스를 운영하다 보면 ads.txt 문제 때문에 골치 아팠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을 것이다. 나 역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itHub를 사용해왔는데, 최근 개인적인 사정으로 ads.txt 파일을 호스팅 하던 GitHub 계정을 옮겨야만 했다. 처음엔 예전 기억을 더듬어야 해서 막막했지만, 막상 해보니 생각보다 너무 간단해서 놀랐다. 낡은 포스팅을 다듬는 기분으로, 그 과정을 최신 정보에 맞춰 깔끔하게 정리해 본다.

 

* ads.txt 문제 해결을 위한 github연결

 

티스토리에 2차 도메인을 연결하면 왜 ads.txt가 항상 말썽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구글 애드센스는 ads.txt 파일이 사이트의 최상위 루트 경로, 즉 ‘도메인/ads.txt’에 위치하길 원한다. 하지만 티스토리의 파일 업로드 기능은 모든 파일을 ‘images/’ 폴더 아래에 넣어버리니, 아무리 파일을 올려도 애드센스는 파일을 찾지 못하는 것이다.

티스토리 ads.txt 파일업로드
티스토리 ads.txt 파일업로드

 

이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사람이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고, 나 역시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듯이 GitHub Pages를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GitHub 저장소에 ads.txt 파일을 올리고, 커스텀 도메인을 연결해 주소 문제를 우회하는 방식이다. 그동안 이 방법으로 아무 문제 없이 잘 사용해왔다.

애드센스 2차도메인 ads.txt 문제 해결 – github

 

* github 새로운 계정으로 이전

그런데 최근에 개인사정으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github 계정을 공개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이전 포스팅을 다시 살펴보았다. 그리고 계정 이전을 수행하였다. 오랜만에 봐서 어려워 보였는데, 생각보다 쉽게 이전할 수 있어서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 본다.

모든 작업은 github에서만 한다. 이미 기존에 github의 주소 정보를 내 도메인 호스팅 사이트에 등록해 놓았기 때문에, 호스팅 사이트는 로그인하지 않아도 된다.

 이제부터 본격적인 이전 과정을 알아보자. 기존 계정의 저장소를 새 계정으로 복제(Fork)하고, 도메인 설정만 바꿔주면 끝나는 아주 간단한 작업이다.

1. github 계정 확인 및 주소 복사 (Form)

가장 먼저 할 일은 이사 갈 집을 마련하는 것이다. ads.txt만을 위해 사용할 새로운 GitHub 계정을 하나 만들고 로그인하자.

내 github 저장소

내 원래 github 저장소

이전에 올린 파일들이 아직도 잘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계정의 저장소 주소를 메모장에 잘 저장해 놓자. 이제 새로운 계정으로 이동하자.

 

2. 새로운 github 계정 생성 

우리는 새로운 계정을 생성한 후에 이전 계정의 파일들을 복사해 올 것이다.

일단 이사할 새로운 github 계정을 생성한다. 이전에 언급한 포스팅을 보면 금방 따라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애드센스 2차도메인 ads.txt 문제 해결 – github

 

 

새로운 github계정을 생성하고 로그인하자.
로그인 후, 앞단에서 복사한 저장소 주소로 이동한다.

 

새로운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에 이전 계정의 저장소 주소로 이동하였다. 이제 이전 계정의 파일들을 내 계정으로 복사해 와야 한다. 우측 상단에 fork 버튼을 누르면, 내 계정으로 파일들을 간단하게 복사해 올 수 있다.

 

github저장소 fork 메뉴

github저장소 fork 메뉴

 

새로운 계정에 이전 계정의 파일들이 잘 복사되어 온 것을 확인한다.

이제 간단하게 기존 정보만 확인만 하면 이전 계정은 필요 없다. 이전 계정 저장소를 삭제하고 새로운 계정을 활성화 시키자.

 

3. 기존 계정의 custom domain 확인

일단 이전 계정으로 로그인 해서 이전에 등록해 놓은 domain 주소를 확인하자. 

 

이전 계정으로 로그인
Settings -> Pages 메뉴에 가서 Custom domain을 확인한다.

저장소 설정 메뉴

저장소 설정 메뉴

 

Pages 메뉴에 도메인 정보가 있다. 기존에 설정한 도메인 정보가 내가 생각한 정보와 동일한지 한번 더 체크해 보자.

 

custom domain 확인

custom domain 확인

 

Remove 버튼이 눌러지면, 눌러서 삭제하자. 나는 읽기 전용으로 설정해 놓아서 삭제가 되지 않는다. 어차피 저장소를 삭제할 예정이니 상관없다.

 General 메뉴의 하단에 있는 Delete this repository를 선택하여 저장소를 삭제하였다.

 

저장소(Repository) 삭제

기존 github 저장소 삭제

기존 github 저장소 삭제

 

I want to delete this repository 버튼을 눌러서 삭제하면 된다.

I want to delete this repository  -> I have read and understand these effects를 누른 후,  안내 대로 내 계정 주소를 빈칸에 써주면 Delete this repository 메뉴가 활성화된다. Delete this repository 메뉴를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눌러주면 저장소가 삭제된다.

 

I want to delete this repository
-> I have read and understand these effects
-> Delete this repository
-> 저장소 삭제

 

4. 새 계정의 저장소 활성화

 

새로 만든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아까 새로 만든 저장소로 이동하자.

Page 화면으로 가서 설정을 마무리하자.

1) Main Branch를 설정하고 저장하여 custom domain을 활성화시킨다.
2) Custom domain 창에 도메인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자. (위에서 확인한 내용 그대로 입력)
DNS Check in Progress가 출력되면서 DNS를 체크한다.
3) Enforce HTTPS가 체크되어 있지 않다면, 체크하자.
4) 시간이 지난 후 확인해 보면, 상단에 나의 사이트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새 저장소 도메인 설정

새 저장소 도메인 설정

 

마지막으로, 개인 취향으로 나는 General -> Archive this repository를 눌러서 이 저장소를 읽기 전용으로 만들어 놓았다.

 

github저장소 읽기전용 설정

github저장소 읽기전용 설정

 

오랜만에 다시 보려니 무척 어려웠지만, 실제로 다시 해보니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았다.

주소창에 내 도메인 주소인 metacity9.com 도 넣어보고, www.metacity9.com도 넣어봐서 사이트로 잘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계정으로 이전할 때 유용할 것 같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